I. 서론

사진(이미지)과 음성(음악)파일을 합쳐 동영상파일을 만들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jpg + *.mp3 = *.mp4)

 

사진 파일과 음성 파일을 일일이 하나씩 합치는 방법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https://www.oneimagevideo.com/ko/

 

이미지 하나로 뮤직비디오를 만드세요 - 이미지 하나와 MP3 파일을 합쳐 MP4 동영상으로 변경하세

이미지 하나와 오디오 파일 하나(MP3)를 결합해 MP4 비디오를 만들어주는 무료 웹서비스. 유튜브에 업로드할 단일 이미지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세요. 이미지 하나와 MP3 파일 하나로 동영상을 제작

www.oneimagevideo.com

하지만, 위 사이트에서는 매번 이미지 파일 1개와 음성 파일 1개를 업로드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저는 사진파일 1개를 1000개가 넘는 음성파일 각각과 합치고 싶었는데, 위 사이트에서 한다면 엄청난 시간 소요가 됨과 동시에 마우스를 움직이느라 손가락 관절에 무리가 갈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이를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샤나인코더를 통해서 제가 생각하던 대량 파일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음에 같은 작업을 할 때 제가 다시 찾아볼 기록용 용도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다른 분들이 계시다면 이 글을 참고하셔서 작업하시면 될 것입니다.

 

 

II. 본문 (방법)


1. 사진(이미지) 파일과, m4a 또는 mp3 등과 같은 음성(음악) 파일을 준비합니다.

저는 사진파일 1개와 음성파일 5개를 준비했습니다.


2. 샤나인코더를 아래의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2023년 4월 기준 5.3.1.1 최신버전 설치)
https://shana.pe.kr/shanaencoder_download/115555%EF%BB%BF

 

샤나인코더(ShanaEncoder) 5.3.1.1 - 샤나

AMF, NVENC, QSV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하세요. 개선사항 영상의 회전 정보를 찾지 못하여 비율이나 잘라내기 사용 시 잘못된 비율로 출력되거나 오류

shana.pe.kr



3. 작업할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1.jpg"로 바꿉니다.(이미지 파일 확장자가 png 등이라면 jpg로 변환해주셔야 합니다.)


4. 방금 이름을 변경한 "1.jpg" 파일을 [C:\ShanaEncoder]경로에 넣어줍니다.


5. 아래에 첨부파일로 업로드해놓은 샤나인코더 프리셋파일("mp3+picture to mp4.xml")을 다운로드하여 [C:\ShanaEncoder\presets\(특별기능)] 경로에 넣어줍니다.

 

mp3+picture to mp4.xml
0.00MB

 



6. 샤나인코더 프로그램을 열어 아래 그림과 같이 다운받은 프리셋파일로 인코딩 설정을 맞춰줍니다.

오른쪽 네모박스를 클릭해준 후, 알림 대화상자가 나오면 "예" 눌러주면 프리셋이 설정됩니다.


7. 아래 그림과같이, 파일추가를 하여 m4a나 mp3 등 이미지를 추가할 음원파일을 불러옵니다.


8. 인코딩 시작을 누르고, 인코딩을 진행합니다.

 

 

III. 결론

 

이미지와 음성파일이 결합되어 mp4 동영상 파일로 잘 인코딩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참조
https://shana.pe.kr/shanaencoder_board/137650#comment_137683

 

MP3 파일에 이미지를 1장넣어 MP4로 변환하려 합니다. - 샤나

수고 하십니다.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MP3 파일에 대표이미지를 1장넣어 MP4로 변환하려 합니다. 방법을 알려 주십시요. 방법이 없다면 기능을 넣어 주시면 고맙 겟습니다. 꼭 필요한 기능 인것

shana.pe.kr

위 링크 질문글의 답변 댓글에 한 외국인 유저분이 방법을 간단히 설명해주셨고, 저는 이 글을 상세히 풀어 사진과 함께 설명한 것임을 밝힙니다. 샤나인코더 커뮤니티의 "sz"님께 감사드립니다.

 

 

 

광고)

https://nhlink.nonghyup.com/servlet/MBCO0000R.view?brc=000068&eno=22312514 

 

농협은행 NH모바일브랜치

고객님과 함께하는 NH모바일브랜치입니다. 고객님과 함께하는압구정동지점입니다.

nhlink.nonghyup.com

농협은행에 계좌 개설이나 신용카드 신청 어플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실 수 있는 링크입니다.

(PC로는 접속되지 않으며, 모바일로만 가능합니다.)

농협은행 신용카드 처음 사용하신다면 초년도 연회비 캐시백 되며, 농협은행 계좌가 한도제한 계좌인데 한도제한을 풀고 싶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상담 가능합니다.

 

I. 서론

 

필자는 요즘 구글 포토에 그동안 찍은 사진들을 업로드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찍은 사진들은 구글포토에 업로드했을 때 찍은 날짜 그대로 잘 업로드되어, 구글 포토에서 해당 날짜의 사진들을 보면 잘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스크린샷 등을 찍은 경우에는 스크린샷을 찍었을 당시의 날짜가 아닌, 업로드 한 날짜(오늘 날짜)로 업로드되어 스크린샷을 언제 찍었는지와는 상관없이 그냥 싹 다 모아 오늘 날짜로 업로드가 된다.

실시간으로 업로드를 하는 방식이라면 크게 상관이 없을 수도 있겠으나, 필자는 구글 포토의 원본 무제한 업로드를 위하여 픽셀 1세대 공기계를 샀고, 자동으로 업로드하지 않고 그냥 몇 달에 한번 꼴로 주기적으로 업로드를 하려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 그동안 찍었던 스크린샷들이 모두 오늘 날짜로 변경되어 업로드가 되어있다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는 스크린샷의 경우 찍은 날짜 정보가 사진 파일에 같이 남아 저장되지 않고, 그냥 파일을 옮긴 날짜로 인식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크린샷같은 사진들도 스크린샷을 찍었던 날짜 정보를 만든 날짜 정보에 복사하여 구글 포토에서 오늘 날짜가 아닌 스크린샷을 찍었던 날짜로 인식하여 업로드되도록 하려고 한다.

 

II. 본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하나가 필요하다.

여러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필자는 한글이 지원되며 사용 방법도 간편하며 무료XnView 라는 프로그램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으로 설명할 것이다.

 

1. 프로그램 설치

 

우선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아래 주소 링크를 클릭하여 아래 첨부된 사진대로 따라 하면 될 것이다.

(XnView 개발사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 https://www.xnview.com/en/xnview/#downloads)

다운로드 페이지로 들어가면 기업용은 유료지만, 개인용은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tandard' 탭에서 'XnView Std. Setup'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계속하여 하염없이 'Next' 버튼을 눌러준다.

'Install' 버튼을 눌러준다.

'ReadMe'는 우리가 읽어볼 필요가 없으므로 체크박스를 해제하고, 'Run XnView'를 체크하여 XnView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메뉴가 이왕이면 한글이면 조금 더 하기 쉬우므로 처음 프로그램을 열었을 때 자동으로 뜨는 설정창에서 언어가 한글로 되어있는지 확인한 후, 한글이 되어있지 않다면 한글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여기까지 우선 XnView를 설치하는 방법이었고, 이제 아래는 XnVie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스크린샷을 찍은 날짜를 구글 포토에서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물론 매우 간단하다.)

 

2. XnView 사용하여 수정 날짜를 만든 날짜로 변경하기

우선 예시로 들 스크린샷 파일이다. OK Cashbag 어플에서 찍었으며, 다행히 파일 이름에는 날짜 정보가 나와있어 언제 찍은 사진인지는 알 수 있다. (사실 파일 이름에 날짜 정보가 없는 것은 사실 이 작업과는 상관없지만, 그래도 정확히 찍은 날짜를 알 수 있기는 하므로 좋다.) 만든 날짜는 사진을 스마트폰에서 컴퓨터로 이동한 오늘 날짜 (6월 25일)이 찍혀있지만, 수정한 날짜를 보면 5월 7일 오후 6시 22분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수정한 날짜'가 실제 스크린샷이 찍힌 날짜이며, 파일 이름과도 일치한다. 하지만 이 파일을 구글 포토에 업로드하면 '오늘 날짜(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6월 25일)'로 인식되어 업로드가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사태를 방지하고자 Xn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XnView 프로그램을 들어가서 사진이 있는 폴더에 가면 이와 같이 사진이 나열될 것이다. 필자는 설명을 위해 한 장의 사진만을 갖고 설명하지만, 여러 장을 한 번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Ctrl+A' 키를 사용해 폴더 안에 있는 모든 사진을 선택하거나 'Shift+클릭'을 사용해 클릭한 사진만 적용시키거나 하는 등 모든 기본적인 윈도우 브라우저의 단축키들이 잘 먹힌다.

어찌 되었든, 사진의 만든 날짜를 수정한 날짜와 같게 바꿔주고 싶은 사진들을 선택하도록 한다.

 

사진을 선택하고 위에 있는 메뉴창으로 가서 '도구'-'파일 시간 변경'을 순차적으로 클릭해 준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적용을 시킨다.

위에 있는 첫 번째 네모칸에서는 바꾸고자 하는 기준이 되는 날짜, 즉 '파일 수정 날짜'를, 두 번째 네모칸에서는 변경이 되어야 할 날짜를 클릭하도록 한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스크린샷은 수정한 날짜가 실제 스크린샷을 찍은 날짜이기 때문에 모든 네모 박스를 체크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필자와 같은 이유로 변경하는 것이라면 모든 체크박스를 체크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적용' 버튼을 누른다.

 

다시 사진이 있던 폴더에 들어가 사진 파일을 '우클릭' 후 '속성'을 확인해 보면, 만든 날짜가 오늘 날짜에서 수정한 날짜였던 5월 7일 오후 6시 22분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실제 스크린샷이 찍은 날짜 그대로 찍은 날짜가 되도록 사진 파일에 제대로 정보를 입력한 것이다.

그렇다면 구글 포토에 업로드를 하면 이제 오늘 날짜가 아닌 실제 스크린샷을 찍은 날짜였던 5월 7일로 정상 인식이 될 것이다.

 

III. 결론

역시 구글 포토 내에서도 정상적으로 실제 스크린샷이 찍혔던 날짜로 인식되어 제 날짜에 맞게 사진이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 파일을 관리할 때 스크린샷이나 카카오톡에서 받은 사진 등은 사진에 실제 찍었던 날짜 정보 값이 없어서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구글 포토 등에 업로드할 때 오늘 날짜로 업로드되는 불상사가 종종 있는데 이제 그런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카카오톡에서 친구들과 주고받은 사진의 경우에 보내는 친구가 원본으로 보내지 않는 이상 사진의 정확한 찍은 날짜 값이 누락되어 있어서 사진이 실제 찍힌 시간이 아닌 내가 핸드폰에 다운로드한 시각으로 날짜 값이 지정되는데 이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 방법을 찾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이 정도면 나름 구글 포토에 사진 정리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였지 않을까 싶다.

+ Recent posts